전체 글15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 안녕하세요. 학교 졸업을 하고 사회에 나와 사회생활을 하면서 사람들과의 의견조율이나 협상이 필요하다거나 또는 초반에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높은 수치를 제시하고 조율을 해가면서 최종적으로 원하는 수치로 타결을 보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는 합니다. 예를들어서 30이 적당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처음에는 그보다 높은 50을 부르고 상대방과 조율을 하면서 35로 결정하는 것을 앵커링 효과를 활용한 협상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앵커링 효과(Anchoring Effect)란? 앵커(Anchor)는 배를 정박시킬 때 배가 떠내려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닻을 의미합니다. 앵커링효과는 배를 고정시키는 닻을 내리듯.. 2021. 2. 24. 자기 불구화(Self-handicapping) 일을 완수하지 못했을 경우에 핑계를 댈 수 있도록 사전에 핸디캡을 만들어 두는 것. 중요한 시험 전에 SNS를 보고 귀중한 시간을 낭비하거나 중요한 프레젠테이션을 하기 전에 “준비할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에 부족할지도 모른다”라고 사전에 변명의 여지를 남겨두는 행동이나 사고.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Edward E. Jones (에드워드 E. 존스)에 의해 제창되었다. 에드워드 E. 존스(인용 : Alchetron) 자기 불구화를 하는 목적은 자존심을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실패 했을 경우 “진심으로 했다면 성공했어”라고 핑계를 대는 것으로 이번의 실패는 우연이었다고 믿고 자존심이 상하지 않게 한다. 프레젠테이션이 잘 되지 않을 경우의 핑계를 댄다 자기 불구화는 자신의 능력을 저하시킨다 자기 불구화를.. 2021. 2. 24. 대표성 휴리스틱 (Representativeness Heuristic) 사람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전형적 이미지를 판단이나 의사결정에 이용해 버리는 것. 인지 바이어스를 낳는 의사결정 프로세스 심리학에서 휴리스틱이란, 사람이 문제 해결 등에 있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판단을 내릴 때에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단서나 법칙. 이것들은 대부분의 경우 경험에 근거하고 있기에 “휴리스틱 = 경험”과 동의로 취급된다. 의사결정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다음 지침을 항상 생각치 않고 행동하는 바로 가기 역할을 갖는다. 그러나 확실한 정확성을 보증하는 것은 아니고 사람에 따라 판단 결과에 일정의 편견을 포함하는 것이 많다. 이런 인식상의 치우침을 “인지 바이어스”라고 부른다. 대표성 휴리스틱은 휴리스틱의 종류 중 하나이다. 사람들이 특정 카테고리 중에서 대표적, 전형적이라고 .. 2021. 2. 24. 감정 휴리스틱(The affect heuristic)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 또는 감정반응이 강한지 약한지에 따라 판단을 내리는 것 사람이 감정적인 요소로 의사결정을 하고, 거기에 부수되는 메리트나 리스크도 감정에 따라 판단하고 마는 경향을 말한다. 심리학자 Paul Slovic (폴 슬로빅)에 의해 2002년 제창된 휴리스틱 중 하나이다. 감정이 리스크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1978년에 폴 슬로빅이나 Baruch Fischhoff (바루크 피쇼프)등이 발표한 논문에 게재되었지만, “감정 휴리스틱”이라는 말을 제창한 것은 폴 슬로빅이다. 감정으로 메리트와 리스크도 판단한다 휴리스틱이나 바이어스에 대해 연구되는 단계에서 사람의 의사결정은 인지적으로 설명 가능한 상황에서 내려진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인지적이라는 것은 대상물을 지각하고 이에 대해 해석한 상.. 2021. 2. 24. 상대방도 내 생각과 같겠지 - 허위 합의 효과 (False consensus effect) 엄청 맛있다고 생각하는 과자나 음식을 다른 사람에게 권했는데 그 사람이 그다지 맛있지 않다고 해서 놀란 경험이 있지않습니까? 나는 맛있다고 느껴서 상대방에게 권유합니다. 하지만 이때 이미 내 머리속에서 상대방의 의견은 나와 같을 것이라는 믿음을 나도 모르게 가지게 됩니다. 그리고 상대방이 그다지 맛있지 않다는 대답을 들게 되면 갑자기 당황스럽고 괜히 무안해 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허위 합의 효과]라고 합니다. 자신의 의견이나 판단이 옳다고 생각해 주위 사람도 같은 의견과 판단을 내릴것이라 착각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다른 사람의 머릿속을 들여다볼 수 없기 때문에 본래 자신의 경험치와 상대의 몸짓, 말로써 다른 사람의 생각을 헤아릴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타인의 생각을 추측하기 위한 고찰이나 객.. 2021. 2. 22. [유튜브]사람과 사람 사이 - 인사 사람과 사람 사이 채널은 다양한 이야기를 공유하기 위해 개설했습니다.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분들에게는 격려가 될 수 있는 그리고 행복한 순간을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우리가 살아가는 이야기를 통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 싶습니다. 채널의 로고를 보면 서로 다른 색을 가진 사람들이 순수한 마음으로 연결 되길 바라는 바라는 마음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럼 앞으로 다양한 이야기와 정보를 가지고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ㅅㅅㅅ Saram Saram SAI 유튜브 채널 구독하러 가기 Saram Saram SAI 2021. 2. 18. 이전 1 2 다음